개신교 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신교 신학은 신약성서와 16세기 종교 개혁에서 비롯된 신학으로, 복음주의 신학이라고도 불린다. 카를 바르트는 복음주의 신학을 신약성서와 종교 개혁을 통해 새롭게 발견된 신학으로 정의했다. 복음주의 신학은 역사학, 고전 문헌학, 인문 과학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성서 해석, 기독교 신앙과 윤리, 철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16세기 종교 개혁을 통해 성경 중심의 신학을 강조하며 발전했으며, 경건주의와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한국의 복음주의 신학은 한국 신학자들과 단체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며, 신학교나 대학교 신학부에서 교육 과정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독일어권에서는 훔볼트 대학교 베를린, 튀빙겐 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에 복음주의 신학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약성서학, 신약성서학, 교회사, 조직신학, 실천신학, 종교학 등의 연구 조직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신교 신학 - 프로테스탄트 윤리
프로테스탄트 윤리는 막스 베버의 연구로 알려진 개념으로, 프로테스탄티즘의 신학적 가치관이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이론이지만, 유일한 요인은 아니며 사회적 영향에 대한 비판과 현대적 영향력 감소에 대한 연구도 존재하는 복잡한 개념이다. - 개신교 신학 - 신정통주의
신정통주의는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발로 나타나 하나님의 초월성 강조, 실존주의 개념 수용, 죄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신학적 흐름이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개신교 신학 | |
---|---|
개신교 신학 | |
![]() | |
분류 | 기독교 신학의 한 분야 |
기원 | 16세기 종교 개혁 |
주요 인물 | 마르틴 루터 존 칼빈 울리히 츠빙글리 필리프 멜란히톤 |
신학적 강조점 | 오직 성경 (Sola Scriptura) 오직 은혜 (Sola Gratia) 오직 믿음 (Sola Fide) 만인 제사장직 |
주요 교단 | 루터교 개혁교회 (칼뱅주의) 침례교 감리교 성공회 (일부) 오순절교회 재침례교 |
같이 보기 | |
관련 주제 | 복음주의 자유주의 신학 근본주의 신정통주의 해방 신학 기독교 우파 기독교 좌파 신복음주의 문화 전쟁 |
2. 복음주의 신학의 정의와 특징
카를 바르트는 "복음주의(evangelische)"라는 형용사가 우선 신약성서이며, 동시에 16세기의 종교 개혁을 떠올리게 한다고 말했다.[1] 또한, 이와나미 쇼텐의 『이와나미 독화 사전』에서 "evangelische"의 첫 번째 의미는 "복음의", "복음서에 근거한"이다. 두 번째 의미가 "신교의", "복음주의의"이다.[2]
마르틴 루터는 성서를 다시 읽음으로써 복음을 재발견하게 되었고, 그것이 결과적으로 종교 개혁으로 이어진 것이다. 따라서 복음주의 신학으로 번역하는 것은, 종교 개혁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부합함을 보여준다. 카를 바르트는 "복음주의 신학은 이스라엘의 역사 문서에 숨겨진 원천에서 나와, 신약성서의 복음서 기자 · 사도들의 서적 속에 처음으로 나타난 신학이며, 그 후 16세기의 종교 개혁에서 새롭게 발견되고 받아들여진 신학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3]
2. 1. 카를 바르트의 정의
카를 바르트는 복음주의 신학을 "신약성서와 16세기 종교개혁에서 비롯된 신학"으로 정의했다.[3] 바르트는 "복음주의(evangelische)"라는 형용사가 신약성서와 16세기 종교개혁을 떠올리게 한다고 말했다.[1] 마르틴 루터는 성서를 다시 읽음으로써 복음을 재발견했고, 이는 종교 개혁으로 이어졌다.[3] 이와나미 쇼텐의 『이와나미 독화 사전』에서 "evangelische"의 첫 번째 의미는 "복음의", "복음서에 근거한"이며, 두 번째 의미는 "신교의", "복음주의의"이다.[2]2. 2. 주요 특징
복음주의 신학은 역사학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역사적 질문에 접근하며, 고전 문헌학의 방법론에 의한 성서 해석을 수행한다. 실천 신학에서는 심리학, 사회학, 교육학 등 인문 과학 분야의 방법론을 활용한다. 또한 기독교 신앙과 도덕, 윤리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폭넓게 다루며, 조직 신학에서는 철학과 자연 과학과 끊임없이 대론을 하고 학문적 검증을 한다. 복음주의 신학은 목사를 지망하는 신학부 학생들에게 이론적 학식을 전달하여 교회를 섬기지만, 교회를 비판하면서 대립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이유로 독일어권의 복음주의 신학은 신학교가 아닌 국립 대학 신학부에서 이루어지며, 신학부 교원들은 교회에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인 존재여야 한다.3. 복음주의 신학의 역사
3. 1. 16세기 종교개혁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필리프 멜란히톤, 장 칼뱅 등 종교개혁자들은 성경 중심의 신학을 강조하며 복음주의 신학의 기초를 놓았다. 믿음에 의한 의인(sola fide, 오직 믿음)은 복음주의의 중심적인 주제가 되었다. 종교개혁은 스콜라 신학의 불충분함을 강하게 인식한 뒤, 신학의 중점을 성경(sola scriptura, 오직 성경) 그 자체에 두었다.서방 교회는 소위 교파화에 의해 루터교, 개혁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로 나뉘었다. 그 과정에서, 성공회는 중용적인 존재로서, 가톨릭에도 복음주의 교회에도 속하지 않고, 중간파로서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1648년에 30년 전쟁은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로 종결되었다.
독일어권의 중요한 신학 교육 기관(대학교 신학부)은 19세기 초까지 루터교와 개혁파 사이에서 나뉘어 있었다. 특히, 개혁파 신학부에 관해서는 현재에도 네덜란드와 그 주변국에서는 그 체제가 지속되고 있다. 루터교에 관해서도 북유럽 국가에서는 루터교 신학부가 존재한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는 신학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유럽의 가톨릭계 대학에서는 신학부 외에도 복음주의 신학에 관한 본격적인 강의, 연습은 비오 4세의 교황 칙서 지시에 따라,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독일어권에서는 대학교 입학 이전의 김나지움에서도 고전어 교육이 이루어지며, 게렐텐슐레라고 불리는 대학교 입학 준비 교육을 주로 하는 학교도 존재한다.
대학교 신학부에서의 강의와 논문은 18세기까지 라틴어로 진행되었고, 박사 학위 취득을 위한 논문은 19세기에도 라틴어로 작성되어 공표되는 경우도 있었다.
3. 2. 17-19세기: 경건주의와 계몽주의
경건주의와 계몽주의가 흥륭한 시기에, 종교 개혁 이래의 전통을 계승해 온 복음주의 교회는 근본적인 비판을 받았다. 신학 그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엄격한 비판이 생겨났으며, 계몽주의 철학자들로부터 신앙 고백의 근본 사항과 하나님의 계시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자료로서의 성경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었다.헤겔과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가 1810년에 신설된 베를린 대학교 교수로 취임하여, 복음주의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가 명령한 루터파와 개혁파에 의한 연합 교회 프로이센 복음주의 교회의 설립도 특기할 만한 사건이었다. 그 이후, 독일의 복음주의 신학부는 루터파가 주류여도, 개혁파 신학의 강좌, 교수도 병존하는 형태로 변화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스위스인 개혁파 신학자인 카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이 루터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3. 3. 20세기 이후: 변증법 신학과 현대 신학
카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은 루터파와 개혁파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에른스트 트뢸치, 아돌프 폰 하르낙, 알베르트 슈바이처, 파울 틸리히, 루돌프 불트만, 디트리히 본회퍼, 위르겐 몰트만 등 현대 신학자들은 복음주의 신학의 지평을 넓혔다.4. 한국의 복음주의 신학
4. 1. 한국 복음주의 신학의 발전
4. 2. 주요 신학자 및 단체
5. 독일어권 복음주의 신학자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알브레히트 리츨, 에른스트 트뢸치, 아돌프 폰 하르낙, 알베르트 슈바이처, 파울 틸리히, 카를 바르트, 에밀 브루너, 루돌프 불트만, 디트리히 본회퍼, 에버하르트 융겔, 위르겐 몰트만, 도로테 젤레 등은 근현대 독일어권 복음주의 신학을 대표하는 신학자들이다.
6. 복음주의 신학 교육 과정
복음주의 신학 교육은 신학교 또는 대학교 신학부에서 이루어지며, 성서 언어, 성서학, 교회사, 조직신학, 실천신학 등을 학습한다.
개신교 신학 학습 과정은 기초 과정과 본 과정으로 나뉜다. 기초 과정[4]에서는 히브리어,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등 성서 언어를 습득하고, 성서학, 교회사, 조직신학, 실천신학 등 신학의 기초 과목을 학습한다. 신학을 주전공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리스어와 히브리어가 필수이지만, 부전공으로 하는 경우에는 필수 과목이 아니다. 학생들은 초급 세미나와 연수, 인문 과학 관련 강의에도 참석하여 신학 연구의 방법론을 습득하고 연구를 개관하는 능력을 얻는다.
본 과정[5]에서는 기초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심화하고, 독자적인 연구 주제를 탐구한다. 강의와 중급 세미나를 통해 연구에 전념하고, 신학 제 분야에서의 문제 설정을 심화시킨다. 연구 발표, 세미나에서의 논의, 학생 집단에서의 연구 활동을 통해 수련을 보완한다.
복음주의 신학부에서는 중간 시험 종료 후 교회 공동체 실습이 교육 과정에 포함된다.[5] 4주에서 6주간의 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목사로서의 일상적인 직무를 경험한다.
본 과정은 통상 4학기와 2학기의 고전어(그리스어와 히브리어) 학기로 구성되며, 수료 시 시험 준비 기간이 설정된다. 복음주의 신학의 기초·본 과정은 제1차 신학 시험이나 디플롬 (대학 과정 수료 시험)에 합격함으로써 수료하며, 석사 학위에 해당하는 마기스터(Magister)를 취득할 수도 있다. 종교과 교직 과정 전공자는 제1차 국가 시험에 합격함으로써 과정을 마치며, 목사 임용 희망자는 제1차 신학 시험을 보고 목사 보임용 자격을 얻는다.[6] 목사 보는 교회 공동체에서 목사의 직무를 배우면서 제2차 신학 시험을 보고 목사 임용 자격을 얻는다.[6] 일부는 박사 논문을 집필하고 신학 박사 학위(Dr. theol.) 취득을 목표로 하기도 한다. 신학 연구자를 지망하는 자는 지도 교수의 지도하에 대학교수 자격 하빌리타치온 시험(논문 심사, 구두 면접)을 보고, 합격하면 신학부 교원이 될 자격을 얻는다.
6. 1. 학습 과정
개신교 신학 학습 과정은 기초 과정과 본 과정으로 나뉜다. 기초 과정[4]에서는 히브리어,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등 성서 언어를 습득하고, 성서학, 교회사, 조직신학, 실천신학 등 신학의 기초 과목을 학습한다. 신학을 주전공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리스어와 히브리어가 필수이지만, 부전공으로 하는 경우에는 필수 과목이 아니다. 학생들은 초급 세미나와 연수, 인문 과학 관련 강의에도 참석하여 신학 연구의 방법론을 습득하고 연구를 개관하는 능력을 얻는다.본 과정[5]에서는 기초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심화하고, 독자적인 연구 주제를 탐구한다. 강의와 중급 세미나를 통해 연구에 전념하고, 신학 제 분야에서의 문제 설정을 심화시킨다. 연구 발표, 세미나에서의 논의, 학생 집단에서의 연구 활동을 통해 수련을 보완한다.
복음주의 신학부에서는 중간 시험 종료 후 교회 공동체 실습이 교육 과정에 포함된다.[5] 4주에서 6주간의 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목사로서의 일상적인 직무를 경험한다.
본 과정은 통상 4학기와 2학기의 고전어(그리스어와 히브리어) 학기로 구성되며, 수료 시 시험 준비 기간이 설정된다. 복음주의 신학의 기초·본 과정은 제1차 신학 시험이나 디플롬 (대학 과정 수료 시험)에 합격함으로써 수료하며, 석사 학위에 해당하는 마기스터(Magister)를 취득할 수도 있다. 종교과 교직 과정 전공자는 제1차 국가 시험에 합격함으로써 과정을 마치며, 목사 임용 희망자는 제1차 신학 시험을 보고 목사 보임용 자격을 얻는다.[6] 목사 보는 교회 공동체에서 목사의 직무를 배우면서 제2차 신학 시험을 보고 목사 임용 자격을 얻는다.[6] 일부는 박사 논문을 집필하고 신학 박사 학위(Dr. theol.) 취득을 목표로 하기도 한다. 신학 연구자를 지망하는 자는 지도 교수의 지도하에 대학교수 자격 하빌리타치온 시험(논문 심사, 구두 면접)을 보고, 합격하면 신학부 교원이 될 자격을 얻는다.
6. 2. 학위 과정
개신교 신학부의 기초 과정[4]에서는 처음 2학기 동안 히브리어,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를 배운다. 고전어와 함께 구약 성서학, 신약 성서학, 교회사, 조직신학, 실천신학 등 5개 과목을 4학기 동안 배운다. 학생들은 초급 세미나와 연수에 참여하여 강의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신학 연구 방법을 익힌다. 또한 인문 과학 전반의 관련 강의에도 참석하여, 신학 연구를 개관하는 능력을 갖춘다. 기초 과정은 중간 시험을 치르면서 끝난다.복음주의 신학부의 본 과정[5]에서는 기초 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심화시키고, 독자적인 연구 주제를 찾는다. 중간 시험 종료 후에는 4주에서 6주간 교회 공동체 실습을 통해 목사로서의 일상적인 직무를 배운다. 본 과정에서는 강의와 중급 세미나를 통해 신학 제 분야에서의 문제 설정을 심화시킨다. 연구 발표, 세미나에서의 논의, 학생 집단에서의 연구 활동을 통해 수련을 보완한다.
본 과정은 통상적으로 4학기와 2학기의 고전어(그리스어와 히브리어) 학기로 구성된다. 본 과정 수료 시 시험 준비 기간이 설정된다. 복음주의 신학의 기초·본 과정은 제1차 신학 시험이나 디플롬 (대학 과정 수료 시험)에 합격함으로써 수료한다. 석사 학위에 해당하는 마기스터(Magister)를 취득할 수도 있다. 종교과 교직 과정을 전공하는 자는 제1차 국가 시험에 합격함으로써 과정을 마친다. 목사 임용 희망자는 제1차 신학 시험을 보고 목사 보임용 자격을 얻는다.[6] 목사 보는 교회 공동체에서 일하면서 제2차 신학 시험을 보고 목사 임용 자격을 얻는다.[6] 목사 보의 일부는 신학 박사 학위(Dr. theol.) 취득을 목표로 박사 논문을 집필한다. 신학 연구자를 지망하는 자는 대학교수 자격 하빌리타치온 시험(논문 심사, 구두 면접)을 보고, 합격하면 신학부 교원이 될 자격을 얻는다.
7. 독일어권 복음주의 신학부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 국가에는 복음주의 신학부가 설치된 대학교가 많다. 훔볼트 대학교 베를린, 보훔 대학교, 본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 취리히 대학교, 바젤 대학교, 베른 대학교, 빈 대학교 등이 대표적이다.
8. 복음주의 신학부의 연구 조직
개신교 신학의 연구 조직은 강좌제를 채택하는 경우, 구약성서학 부문, 신약성서학 부문, 교회사 부문, 조직신학 부문, 실천신학 부문, 종교학 부문으로 나뉘어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한다.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을 대표하는 튀빙겐 대학교 복음주의 신학부의 강좌 목록은 다음과 같다.
- 구약성서학 부문
- 구약성서학(구약성서 문학사) 강좌: 에르하르트 블룸 교수
- 구약성서학(구약성서 신학) 강좌: 마르틴 로이엔베르거 교수
- 성서 고고학 강좌: 옌스 칼마 교수
- 구약성서학 원외 교수: 하인츠-디터 니프 교수
- 신약성서학 부문
- 신약성서학(신약성경, 고대 유대교) 강좌: 미하엘 틸리 교수
- 신약성서학(복음서 연구) 강좌:
- 신약성서학(바울, 바울 학파, 신약성서 신학, 성서 해석학) 강좌: 크리스토프 란트메서 교수
- 교회사 부문
- 교회사(중세, 종교 개혁사) 강좌: 폴커 레핀 교수
- 교회사(초대 교회사) 강좌: 폴커 헤닝 드레콜 교수
- 교회사(근현대 교회 사, 교회법) 강좌: 위르겐 캄프만 교수
- 조직 신학 부문
- 조직 신학(기초 신학, 종교 철학) 강좌: 크리스토프 슈베벨 교수
- 조직 신학(기독교 윤리학) 강좌: 엘리자베트 그레베-슈미트 교수
- 조직 신학(교의학) 강좌: 프리드리히 헤르마니 교수
- 실천 신학 부문
- 실천 신학(설교학) 강좌: 게랄트 크레치머 교수
- 실천 신학(종교 교육학) 강좌: 프리드리히 슈바이처 교수
- 실천 신학(목회학) 강좌: 비르기트 바일 교수
- 종교학, 유대학 부문 Abteilung Religionswissenschaft und Judaistik
- 종교학, 유대학 강좌: 슈테판 슈라이너 교수
9. 각주
참조
[1]
서적
福音主義神学入門
新教出版社
1962
[2]
서적
岩波独和辞典
岩波書店
1953
[3]
서적
カール・バルト、上掲書
[4]
웹사이트
http://www.theologie[...]
[5]
웹사이트
http://www.theologie[...]
[6]
웹사이트
https://www.das-voll[...]
[7]
웹사이트
http://www.ev-theolo[...]
[8]
웹사이트
http://www.ev-theolo[...]
[9]
웹인용
Protestant - Definition of Protestant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www.oxforddic[...]
2021-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